최종편집 : 2025-04-01 21:46 (화)
위생 때문에 없앤 공중화장실 휴지통, 버릴 곳 없으니 더 더러워
상태바
위생 때문에 없앤 공중화장실 휴지통, 버릴 곳 없으니 더 더러워
  • 김동민 기자
  • 승인 2025.03.30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장실 위생을 위해 만든 '휴지통 없는 화장실 제도'가 오히려 화장실 위생관리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어 법안 개정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이다.

지난 2017년 7월 26일 행정안전부에서 내놓은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됐다. 

공중화장실에 휴지통을 두어 생기는 악취, 해충 방지, 위생을 위해, 2018년 1월부터 공식적으로 화장실 개별 칸막이 내부에 휴지통을 설치할 수 없게 됐다. 

이 법이 시행됨에 따라, 화장실 칸막이 내부에 ‘휴지통 없는 화장실’ 안내 스티커 미부착 시 벌금이 부과된다. 

지난 29일께 찾은 덕진공원 화장실은 쓰다 만 물티슈와 두루마리 휴지가바닥에 널부러져 있었다. 

일부 변기칸에는 담배꽁초와 음식물들이 변기를 가득채워 화장실 이용자들의 인상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공원 화장실을 청소하는 한 모(53)씨 는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휴지만 쓰는 게 아니라 물티슈, 여성용품 등을 변기에 버려 막히기도한다”면서 “쓰레기통이 있어도 변기에 버리는데 만약 쓰레기 통이 없으면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하소연 했다.

화장실 이용자 김 모(45) 씨는 "화장실을 이용하려고 하는데 변기가 휴지에 꽉 막혀 이용을 할 수가 없다"며 "휴지통이 없다보니 화장실 이용객들이 쓰레기를 변기에 버려서 문제가 생기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지자체 역시 변기 막힘으로 인해 공중화장실 관리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있지만, 물티슈 사용을 금지한다거나 물에 녹는 물티슈의 사용만 강제할 수도 없어 시민 인식 개선에만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휴지통을 자체를 아예 없애기는 힘들다”며 “휴지가 아닌 물질을 쓸 때는 변기 밖에 놓인 휴지통에 넣어줘야 한다”며 “별도 안내 스티커를 붙여 물에 녹는 휴지외 다른 것들은 변기에 넣지 말라는 인식 개선 활동을 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김동민수습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법무법인 대건, ‘채끝삶’ 사칭 사기 주의 당부…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
  • 여수간장게장맛집 ‘낭만별식 라테라스점’, 2TV 생생정보 ‘고수의 부엌’에 소개
  • [칼럼]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보톡스, 신중히 접근해야
  • 신천지자원봉사단 군산지부, ‘자연아 푸르자’ 환경정화 활동
  • [칼럼] 환절기 우리 아이 괴롭히는 ‘모세기관지염’, 증상과 예방 수칙은?
  • 대구의 강남, 수성구 새 아파트 ‘범어 라클라쎄’ 그랜드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