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해수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절차대로 추진
전북특별자치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특별지자체)’ 출범이 차질을 빚게 됐다.
새만금 관할권을 둘러싼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의 해묵은 갈등이 특별지자체 출범을 위한 ‘합동추진단’ 구성으로 봉합될 돌파구가 열렸지만, 협약서 체결이무산되면서다.
19일 전북도에 따르면 이날 도청에서 예정됐던 협약식이 김제시의 불참으로 잠정 연기됐다.
앞서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은 새만금 권역의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예산 확보 등 공동 사무 처리를 위한 특별지자체를 출범하기로 합의했다.
그 일환으로 합동추진단을 꾸리고 단장은 3개 시군의 부단체장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사무국은 전북도 소속의 TF로 운영하고, 도 직원 및 3개 시군 파견 공무원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관영 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정성주 김제시장, 권익현 부안군수, 각 시·군의회 의장, 도의원들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전날 김제시가 돌연 불참을 통보했다.
이는 신항만 운영 방식 문제를 놓고 도와 김제시 간에 온도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군산시는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을 통합 관리하는 원포트(One-Port)를, 김제시는 새만금 신항을 신규 항만으로 지정해 군산항과 분리하는 투포트(Two-Port)를 요구하며 이견을 보여 왔다.
이에 전북도와 군산시, 김제시는 오는 26일 열릴 해양수산부의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서 각자의 입장을 개진할 예정이었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가 새만금신항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지자 김제시가 반발하고 나섰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새만금 특별지자체가 필요하다는 점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무역항 지정에 전북도가 중립적이지 않은 자문위원회를 내세워 새만금 신항을 군산항의 부속항으로 만들려는 현 상황은 특별지자체 추진에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다”라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단지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했을 뿐, 신항만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발표한 적은 없다”며 “일단은 26일 해수부 심의회 일정에 따라 절차대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별지자체 설립은 무산이 아닌 조율 과정 중에 있다며, 김제시와 소통으로 의견을 좁혀 나갈 것이다”고 했다./정해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