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4-04 08:51 (금)
탄핵 심판 앞둔 4·3···野, '국가 폭력 없는 나라' 강조
상태바
탄핵 심판 앞둔 4·3···野, '국가 폭력 없는 나라' 강조
  • 이용 기자
  • 승인 2025.04.03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李, 제주 4·3 기념식서 '국가폭력'에 "결코 용서 않을 것"
-전북 정치권, 4·3 명예회복·진상규명 '한 목소리'
-한덕수, "국민적 통합 절실···갈등 넘어야 지속 성장"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직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취재진을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직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취재진을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여야가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서로 다른 메시지를 내놨다. 여당은 '국민 통합'을, 야당은 '국가폭력에 대한 불관용'을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국가 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서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제주 4·3 계엄에 의한 국민 학살이 결국 단죄되지 못했고 결국 1980년 5월 계엄령에 의한 국민 학살이 이뤄졌다"며 "그에 대한 책임 역시 완벽하게 묻지 못해서 오늘날 다시 계엄에 의한 군정을 꿈꾸는 황당무계한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12월3일 친위 군사 쿠데타 계획에는 약 5000명에서 만명 국민 학살 계획이 있었다"며 "자신의 안위를 위해서 그 하잘것없는 명예와 권력을 위해서 수천 명의 군주를 말살하려 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국가폭력범죄 공소시효 배제법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거부된 것을 비판하면서 "다시는 이 대한민국에서 총칼로, 권력의 이름으로 유권자들을 살해하는 위협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공소시효 배제법'을 반드시 재의결하겠다"고 약속했다.

반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같은 추념식에서 "국민적인 통합이 매우 절실한 때"라며 "이념과 세대, 지역과 계층 간의 갈등을 넘어서지 못하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우며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대행은 "제주 4·3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화합과 상생의 가르침을 주고 있다"며 "서로 용서하고 화해하며 다시 일어선 4·3의 숨결로 대한민국을 하나로 모으고, 미래로 힘차게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희생자와 유가족분들의 완전한 명예회복과 보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미진한 부분에 대한 추가 진상조사를 올해 안에 마무리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추념식에서 "제주의 무고한 국민들은 정부가 내린 포고령 계엄령하에서 무참히 희생당했다"며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에서 일어난 적대와 선동, 혐오와 폭력도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제주 4·3 평화기념관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은 제주 4·3에서 시작된 국가폭력의 악순환을 끊는 선언이 될 것"이라며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국민을 위협한 자는 어떤 권력의 자리에서도 반드시 처벌을 받는다는 것, 역사는 낱낱이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회의에서 "탄핵 심판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큰 갈등과 혼란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위태로운 상황"이라며 "국민께도 간곡히 호소한다. 설령 받아들이기 힘든 결과여도 법과 제도의 틀 안에서 대화와 타협이라는 정치의 본질을 지키며 대안을 모색하고 절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는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된다. 윤 대통령은 대리인단을 통해 혼잡 우려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헌재 결정에 따라 윤 대통령은 파면되거나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

선고를 앞두고 헌재 주변은 경찰이 반경 150m 구역의 통행을 제한하고 차벽과 펜스를 설치해 차단선을 만든 상태다. 안국역은 3일 오후 4시부터 무정차 통과를 실시하고 있으며, 헌재 인근 버스 노선도 임시 우회하는 등 교통통제가 강화됐다.

서울=이용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법무법인 대건, ‘채끝삶’ 사칭 사기 주의 당부…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
  • 여수간장게장맛집 ‘낭만별식 라테라스점’, 2TV 생생정보 ‘고수의 부엌’에 소개
  • [칼럼]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보톡스, 신중히 접근해야
  • 신천지자원봉사단 군산지부, ‘자연아 푸르자’ 환경정화 활동
  • [칼럼] 환절기 우리 아이 괴롭히는 ‘모세기관지염’, 증상과 예방 수칙은?
  • 대구의 강남, 수성구 새 아파트 ‘범어 라클라쎄’ 그랜드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