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상 팔을 많이 사용하거나 일상생활에서 팔을 많이 쓰는 사람들은 만성적인 팔꿈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중 많은 비율에서 테니스엘보가 진단된다. 테니스엘보는 팔꿈치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꼽힌다.
테니스 선수들에게 주로 발병한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지만 테니스를 치지 않는 일반인들의 발병 비율도 매우 높은 편이다. 테니스엘보의 발병 요인은 팔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힘줄에 발생하는 염증 및 손상이다. 이 부위는 혈류 공급이 적은 저혈구간이기 때문에 질환이 발생하면 만성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은 "테니스엘보는 염증성 질환으로 오랫동안 방치하면 만성으로 진행되어 완치가 어려워지고, 재발도 잦아지게 된다. 테니스엘보 환자는 팔꿈치의 바깥 부분에 통증을 느끼며, 팔을 살짝 비틀거나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질환이 진행될수록 통증 역시 심해져서 세수를 하거나 식사를 하는 등의 일상적인 동작에도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라며 "테니스엘보 초기의 환자는 통증이 가라앉을 때까지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병원에서 약물을 처방받아 복용하거나 물리치료, 주사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수개월간의 치료에도 효과가 보이지 않거나 극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수술은 환자의 팔꿈치 관절의 힘줄 및 인대 등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방식으로 시행한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김홍겸 원장은 "팔꿈치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테니스엘보외에도 골프엘보 및 팔꿈치인대 손상, 팔꿈치 박리성 골연골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팔꿈치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