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해를 맞아 전라연합예술단이 중국 강소성 창저우시 봉황곡대극원에서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한중문화교류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중국 강소성 간의 교류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공연은 한중문화협회 전북지부(회장 박영진)와 중국 강소성 인민대외우호협회가 공동 주최했다.
전라연합예술단은 박영진 단장을 필두로 부단장 박명숙, 총연출 조승철, 예술감독 장인숙, 명창 차복순, 고수 신동선, 명무 김명신, 박현희, 노태호, 무용수 김연우, 서한나, 최진영, 김민주, 최윤형, 사회/통역 신민교 등이 참여해 호남지방의 교방 문화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공연을 선보였다.
전북 무형유산 제47호인 호남산조춤과 판소리 '수궁가'를 콜라보로 구성한 '토끼와 자라'을 무대에 올렸고, 판소리 '흥보가'는 차복순 명창의 풍부하고 격조 높은 너름새와 소리로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조선 중기 부안 출신의 예인 이매창의 애절한 시 '이화후 흩날리제'를 시나위 가락에 맞춰 아름다운 춤사위로 표현한 장인숙 명무의 전주부채춤, 성춘향과 이몽룡의 전설적인 사랑 이야기를 김명신 안무의 춤으로 풀어낸 '연가 사랑', 우리 삶의 멋과 흥을 신명나게 풀어낸 박현희 안무의 '신명소고춤' 등을 선보였다.
창저우 봉황곡대극원 지혜 대표는 "차복순명창의 흥겹고, 애절하고, 간절함의 소리 표현이 심금을 울렸다면, 장인숙 명무 등의 춤은 우아함과 절제된 춤사위 속에 흥겨움과 애절함, 간절한 한의 표현의 몸짓, 손놀음, 발놀음, 표정에서 상주시민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고 말했다.

전라연합예술단 박영진 단장은 "이번 한중문화교류 공연은 양국의 전통문화 발전을 위한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한국의 전통 예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고 자평했다.